지난번에 이어서 맥미니 홈서버로 만들기
서브 2탄이다. 일단 서버를 직접 만들려면
외부에서 접속이 가능해야 한다.
카페에서든 어디서든 언제든지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이 되어야한다. 집에서만 접속이 가능하면 안되니까.
그러려면 대중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것은 내부 주소를
고정하고 외부 특정 포트를 포트포워딩해서 접속하는
방법이다.
외부에서의 요청 -> 공유기가 포트별로 판단 -> 맥미니로 요청
대략 이런 경로라고 보면 된다.
DHCP가 뭘까
DHCP 설정부터 고정해보자
DHCP는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을 약어로
쉽게 생각하면 내부 주소 할당을 어떻게 해줄지 결정하는 규칙이다.
예를 들어 우리집에 2개의 pc가 있다고 하면 이는 하나의 외부 IP를
가지더라도 내부적으로 내부 IP는 2개가 된다. 그래서 네이버에
피시A가 접속하든 B가 접속하든 하나의 IP로 보인다.
이는 규모를 확장해보면 회사에서도 마찬가지다.
회사에 있는 pc들에 각각 외부 IP를 따는것이 아니고 하나의 회선을 확보하고
각자 내부 IP를 부여받아 공인 IP는 하나이지만 여러대를 하나처럼 쓰는 것이다.
어쨌든, 그래서 나는 내 노트북 + 홈서버(맥미니)가 있는데 이 홈서버에
내부 ip를 고정하고자 한다. 안그러면 접속해서 뭔가 하기가 굉장히
불편해진다.
DHCP 할당 규칙을 추가해주자
나는 최근 sk인터넷으로 변경해서 sk공유기에 접속했다.
지금은 주소를 바꾼거고 192.168.45.1로 처음에
접속을 해야한다.
id는 admin
pw는 공유기 뒷면의 맥주소 6자리 + _admin이다
그렇게 접속하게 되면 우측 상단에 고급설정
네트워크 설정 메뉴를 통해 들어가서 아래로 가면
dhcp 설정이 있다.
이미 인터넷이 잡혀있는 경우 저기에 특정pc의
맥address가 뜨기 때문에 그걸 내가 원하는
특정한 내부 ip로 설정해주면 된다.
나는 192.168.0.10으로 설정해줬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sk 공유기 주소가
192.168.45.1이었는데 이것도 좀 불편해서
192.168.0.1로 변경을 먼저 해주었다.
나처럼 기본주소를 변경하지 않고 하면
192.168.45.10 이런식으로 설정하면
규칙을 위배하지 않고 설정할 수 있다.
포트포워딩도 마저 해주자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22번, 8080번 외에도 몇개 포트는
외부 포트로 지정할수가 없다.
나는 일단 ssh접속(22번 포트)을 하기 위한 포트포워딩을
추가하려고 비슷한 느낌의 2222번 포트를 열어주었다.
이러면 내 집의 외부 ip를 가지고 홈서버에 ssh를 접속
할 수 있게 되었다. ip주소, 포트만 알면 아무데서나 될거여서
추후 보안관련 사항을 업데이트 해야하지 않을까 싶다.
'홈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미니를 홈서버로 만들어볼까..? ssh 접속하기 (0) | 2025.07.2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