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맨날까먹는 쿠버네티스 마스터-nfs-worker 설정 순서

코딩스케치 2025. 6. 5. 01:16

cloud 플랫폼을 옮겨가면 하는데

매번 까먹어서 기억하기 위해서 순서 기록.

 

1. master, worker용 이미지 준비하기

nfs는 이미지를 쓰지 않기 때문에 상관없지만

master, worker는 도커, 쿠버네티스가 깔린

이미지를 만들어놓고 그 이미지로 인스턴스를

만들어가는게 편하기 때문에 준비해놓아야한다.

 

-> 도커, 쿠버네티스 설치

-> nfs 마운트를 위해서 nfs-utils깔기

-> 이미지 만들고 인스턴스 생성(nfs는 이미지 안씀)

 

2. 마스터 설정하기

기본적인건 깔아놓았으니 없는거만 추가하자

 

-> CNI 구성(특별히 커스텀할거 없으면 flannel)

(서버에 따라서 init ip 대역 겹치는거 확인은 해야됨)

-> nfs 마운트해주기

-> nfs pv, pvc 잡아주기

-> 도커 시크릿 추가해주기(안그러면 imagePull 안됨)

-> alias 필요한거 등록(편의상)

-> 각종 config git pull(token으로 되어있음)

-> helm 설치

-> nfs provisioner 띄우기(pv 동적 생성 및 동적 바인딩)

 

3. nfs 설정하기

마운트 당할(?) 경로 지정해주기 vi /etc/exports/ (/data/nfs)

 

4. worker 조인

worker는 별거없이 조인하면 끝

 

5. 기존 master 혹은 redis 등과 통신 되는지

대역대 안열려있으면 통신 안되니까

대역대 열어져있는지 확인하기.

 

그 외 띄울 service, deploy는 알아서 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