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대학원 멘토? 전공, 대학원 선택 - 개발자 특수대학원 진학기 2
개발자 특수대학원 진학기 1과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특수대학원에 대해 찾아보다 보면 느낄 수 있는건 정보가 많이 없다는 것입니다. 저 또한 이 부분에서 꽤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그리고 조금 더 생생한 정보를 알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했습니다.
그나마 유용한 정보들은 유튜브, 블로그를 통해 많이 접했었는데 최근에 합격하신분들 중에서 조언을 얻고자 위와 같이 댓글을 남기면서 물어보곤 했습니다.
서성한 라인의 특수대학원을 고려하고 있었기 때문에 해당 대학원들 위주의 글로 찾아보았습니다. 조언을 여쭈면서 오프라인 미팅에 대한 의사도 여쭤봤는데 정말 감사하게도 응해주신 분이 있어서 특수대학원에 관해서 많은 얘기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처음에는 빅데이터 전공에 좀 더 관심이 있었기에 빅데이터 전공 위주로 찾아봤었습니다. 전체적인 맥락과 준비방법은 비슷합니다)
질문도 준비해갔었는데 친절하시게도 제가 물어볼 질문들과 답변을 미리 준비해주셨습니다. 대략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멘토님 질문 - 답변
1. 합격 가능성?
-> 불가능은 아닐 것 같다. 정말 다양한 직업군, 스펙을 가진 사람들이 모였기 때문에 면접 준비만 잘하면 가능성이 있다.
2. 수업?
-> 학교에 따라 다르지만 토요일에 열리는 학교도 있다(토요일 수업이 있는 학교셔서 가능하면 토요일 수업 우선 순위로 들으신다고 하셨습니다), 수업의 퀄리티는 학부 수준과 비슷할 정도로 아무래도 특수대학원이라서 수업의 퀄리티가 높지는 않다. 일반대학원 수업도 섞어 들을 수 있어서 퀄리티 있는 수업을 위해서는 수업을 섞어 듣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3. 네트워크?
-> 크게 참여는 못하고 있다. 일이 바쁘다보니 일과 수업만으로도 시간이 벅차다.
4. 전략?
-> 면접에서 관심도를 보여주는게 가장 중요할 것 같다. (서류가 있긴한데 비중이 크지 않다)
5. 졸업학기를 앞두고 있는데 학비, 시간 등 고려했을 때 추천하시는지?
-> 대학원에 대해서 한 번 고민했다가 다시 한 번 고민이 되었을 때 지원했는데 고민이 된다면 차라리 빨리 지원하는 것을 추천, 주변 원우들을 보면 아싸리 빨리 가거나 늦게 가거나 둘 중 하나인 경우가 많았다. 너무 큰 기대를 하면 실망할수도 있지만 최근 수업내용으로 업무에 능동적으로 적용해볼 수 있던 것도 있어서 만족, 아쉬움이 남을거같다면 지원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외에도 여러 질문에 답변을 해주시며 약 한 시간정도 생생한 정보를 얻었습니다. 사실 저 당시에 답변해주시는 걸 들으면서 제가 특수대학원이라고 너무 가볍게 생각했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좋은 수업을 듣기 위해 일반대학원 수업까지 찾아듣는 열정과 일단한번 지원해보자라는 제 가벼운 마음가짐이 교차되는 것 같았거든요
그래서 2주 정도 정말 대학원에 가고 싶은건지 뭘 위해 가려고 하는지 다시 한 번 고민했고 그러면서 빅데이터 전공이 아닌 제 직무와 조금 더 연결되는 소프트웨어 전공으로 방향을 틀었고 이제는 정말 합격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최종 준비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서강대 빅데이터전공으로 지인분이 다니고 계신데 수업이 괜찮다는 얘기도 들었고 마침 서강대에 소프트웨어 전공이 있어서 서강대 - 소프트웨어학과로 목표를 잡고 준비했습니다. 다음 편은 서류, 면접 준비과정으로 이어집니다.
직장인 야간대학원 고민 - 개발자 특수대학원 진학기 1
특수대학원 멘토? 전공, 대학원 선택 - 개발자 특수대학원 진학기 2(현재글)
특수대학원 서류 준비 및 합격 - 개발자 특수대학원 진학기 3
특수대학원 면접 및 합격 후기 - 개발자 특수대학원 진학기 4
서강대학교 소프트웨어공학 특수대학원 최종 합격 후기 - 개발자 특수대학원 진학기 마지막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