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대학원 서류 준비 및 합격 - 개발자 특수대학원 진학기 3
개발자 특수대학원 진학기 2의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본격적으로 특수대학원을 준비하기 시작했습니다.
이전 편에서 언급한대로 서강대학교 - 소프트웨어공학 특수대학원을 목표로 준비했습니다.
특수대학원 전형절차
특수대학원의 전형 과정은 이렇습니다.
[서류-면접-최종합격]
생각보다도 심플합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글에서 서류로 떨어뜨리는 경우가 거의 없다는게 특징입니다. 그 얘기는 면접에서 대부분을 평가한다는 것인데 면접은 길어봐야 20분 정도로 치뤄졌고 20분 안에 지원자를 판별하는게 가능할까? 싶었습니다. 그래서 교수 재량에 따라서 학벌, 스펙 등으로 떨어뜨릴수도 있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되면 저는 탈락하기 쉬운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전략적인 준비가 필요했습니다.
특수대학원 서류 준비
일단 제가 준비한 서강대학교 소프트웨어전공의 경우 자기소개서에서 다음과 같은 항목을 봅니다.
[지원동기 - 전공관련 교육배경 - 직장 사업 및 사회활동 경력]
개발자로 일하고 있는 만큼 제 전략은 서류에서부터 구체적인 언급을 하자는 것이었습니다. 소프트웨어공학 특수대학원에 지원한다는 것은 대부분 비전공자일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두루뭉술하게 단순한 학습의지만 언급하면 비전공자임을 더 두각시키는 부분이라고 생각하고 사용하는 기술, 관심 있는 기술 위주로 언급하는 것을 전략으로 접근했습니다.
지원동기 - 업무에서 느꼈던 부족한 부분을 메꾸고 싶어 지원하게 되었다는 과정을 최대한 자세히 썼습니다.
전공관련 교육배경 - 국비교육을 받은게 있어서 해당 내용과 산업공학과 재학당시 들었던 소프트웨어 관련 수업을 최대한 언급했습니다.
직장 사업 및 사회활동 경력 - 직장에서 하는 업무를 최대한 자세히 기록했습니다.
재작년? 쯤에는 연구계획서를 받았다고 알고 있는데 올해는 조금 간소화가 된건지 대학원 진학 이후 학업을 어떻게 할 것이다가 아닌, 수업을 따라올만한 최소한이 되어있는지를 중점적으로 보는 것 같았습니다.
특수대학원 서류 합격
다행히 전략이 먹힌 것인지 서류 통과가 되었습니다. 서류 통과에 대한 언급이 따로 없고 바로 면접 안내 문자가 오는걸 보면 자소서의 내용과는 크게 무관하게 일단 면접을 보게 해주는거라고 보여지기도 합니다. 그렇다고 자기소개서를 막 쓰면 안되는게 면접 때 자기소개서와 나머지 서류를 참고해서 질문을 주시기 때문에 자소서에 쓴 내용들과 결이 일치하는 답변을 준비하는게 좋습니다. 따라서 자소서부터 제대로 써놓는게 가장 편합니다.
직장인 야간대학원 고민 - 개발자 특수대학원 진학기 1
특수대학원 멘토? 전공, 대학원 선택 - 개발자 특수대학원 진학기 2
특수대학원 서류 준비 및 합격 - 개발자 특수대학원 진학기 3(현재글)
특수대학원 면접 및 합격 후기 - 개발자 특수대학원 진학기 4
서강대학교 소프트웨어공학 특수대학원 최종 합격 후기 - 개발자 특수대학원 진학기 마지막 편